北 방사능 폐수 배출했을까···특별실태조사 착수강화도, 한강 하구 등 10개 지점
|
![]() 4일부터 정부 합동 특별 실태조사를 벌이는 시료채취 예정 10개 지점. 사진=통일부 |
【이코노믹포스트=양승진 북한 전문기자】 북한의 핵 오염수가 서해로 유입되고 있다는 의혹이 일자 정부가 4일 실태 조사에 착수한다.
통일부는 3일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 해양수산부, 환경부, 국방부, 국정원 등 관계 부처 회의를 열고 원안위·해수부·환경부 3개 기관 합동으로 특별 실태 조사를 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북한 지역에서 유입되는 예성강 하구와 가장 가까운 강화도, 한강 하구 등 10개 지점에서 시료를 채취해 우라늄, 세슘 등 방사성 및 중금속 오염 여부를 조사한 뒤 약 2주간의 분석 과정을 거쳐 결과를 공개할 예정이다.
2019년에도 평산 우라늄 공장의 폐수 방류에 대한 우려가 제기돼 정부가 한강과 서해 물을 채취해 우라늄 오염 여부를 조사한 적 있지만 문제가 없었다.
전국 244개 지역에 환경 방사선 자동 감시기를 설치해 평균 15분 간격으로 측정하고 있는 원안위는 1일 “전국 모든 지역에서 (방사능 수치가) 정상”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이번 실태 조사 지점을 6곳에서 10곳으로 늘리고, 조사 범위도 우라늄과 세슘, 중금속으로 확대했다. 당분간 매달 북한의 폐수 방류와 관련한 감시를 지속하고 정기적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겠다는 계획도 내놓았다. EP
ysj@economicpost.co.kr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