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일반
건설경기 침체에 고용절벽 심화1분기 민간 건설공사 계약액 36조1000억···전년 대비 13.4% 감소
|
![]() 사진=뉴시스 |
【이코노믹포스트=이주경 기자】 건설·부동산 경기 침체가 장기화하면서 고용 한파가 지속되고 있다. 건설업 관련 고용보험 피보험자 수가 10년 만에 처음으로 2년 연속 감소하는 등 '고용절벽'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민간의 건설공사 계약액은 36조100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3.4% 감소했다. 공공부문 공사 계약액은 23조9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 증가했지만, 민간부문 침체가 악화하면서 전체 규모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8% 줄어든 60조1000억원으로 집계됐다.
게다가 건설경기 침체가 악화하면서 건설업에 새로 진입하는 업체가 줄고, 폐업은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 올해 1분기 종합건설업으로 등록한 업체 수는 역대 최저 수준까지 떨어졌다.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종합건설업 등록 공고(변경·정정·철회 포함)는 131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1분기 기준으로 지난 2004년 이후 최저치다.
반면 문을 닫는 업체는 증가하고 있다. 1분기 종합건설업 폐업 신고(일부 폐업·업종 전환 포함)는 160건으로, 지난 2011년 1분기(164건) 이후 14년 만에 가장 많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19.4% 급증했다.
올해 들어 중소·중견 건설사들의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 신청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올해 들어 법정관리를 신청한 건설사는 △신동아건설(58위) △대저건설(103위) △삼부토건(71위) △안강건설(138위) △대우조선해양건설(83위) △삼정기업(114위) △벽산엔지니어링(180위) △삼이앤씨(122위) △대흥건설(96위) 등 11곳에 달한다. 지난 2023년 연간 수치(7곳)는 이미 넘어섰고, 지난해 한 해 법정관리를 신청한 건설사 수(15곳)와도 차이가 크지 않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건설 고용시장은 악화일로다. 한국고용정보원의 고용보험 통계 현황에 따르면 지난달 건설업 고용보험 피보험자 수는 75만5150명으로 집계됐다.
지난 2023년 5월 78만2308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2년 연속 감소하고 있다. 건설업 피보험자 수가 2년 연속 감소한 것은 최근 10년 내 처음이다. 지난해 6월 고용보험 피보험자 수가 8005명 줄어든 데 이어 지난달 감소 폭이 1만9153명으로, 2배가량 급등하면서 고용 한파가 갈수록 악화하고 있다. 게다가 지난 2년간 2만7000여명이 고용보험 자격을 잃으면서 고용 규모는 코로나19가 한창이었던 2021년 수준으로 떨어졌다.
건설업 고용 한파는 한동안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올해 국내 건설 수주 예상치는 전년 대비 1.9% 증가한 222조1000억원이다. 물가 상승 효과를 감안하면 제자리 수준에 그친다. 상반기에는 정치 불확실성과 투자심리 위축, 높은 공사비, 부동산 PF(프로젝트파이낸싱) 부실 등의 영향으로 수주가 부진했지만, 하반기에 일부 만회할 것으로 예상된다. 수주 재개와 금리 인하, 건설경기 부양 정책 등의 효과로 개선이 기대된다.
하지만 건설 투자는 전년 대비 5.3% 감소한 274조8000억원이 예상된다. 2023년 건설 수주 급감과 2022~2023년 건축 착공 감소 등 주요 선행지표 부진의 영향으로 하반기에 침체 흐름이 이어질 것이란 예측이다.
이지혜 건산연 연구위원은 "내수 부진과 대출 규제 등의 요인이 건설경기 회복을 막고 있다"며 "건설산업 체질 개선을 위한 접근과 미래 성장의 기반을 마련하는 데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EP
ljk@economicpost.co.kr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