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피소로 쓰이는 학교 내진설계 충족율 36.7%
이주경 기자 | 입력 : 2019/09/11 [10:25]
11알 김병관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행정안전부로부터 제출받은 ‘공공시설물 내진성능 확보현황’ 자료에 따르면, 공공시설물의 내진설계 충족율은 62.3%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 / 김병관 의원실
|
[이코노믹포스트=이주경 기자] 지진시 대피소로 쓰이는 학교시설의 내진설계 기준 충족율은 36.7% 수준인 것으로 드러나, 이에 대한 점검이 시급해 보인다.
11일 김병관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행정안전부로부터 제출받은 ‘공공시설물 내진성능 확보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시설물별 내진설계 기준 충족율은 전체 31개 부문 18만7950곳 중 11만7165곳(62.3%)인 것으로 집계됐다.
하지만 지진·화산 등 재해가 발생할 시 대피소로 쓰이는 학교시설 3만2896곳 중 내진율을 확보한 곳은 1만2070곳으로 40% 이하의 수준이었다. 공공건축물의 내진율은 35.1%(5만6023곳 중 1만9675곳)로 이보다 더 낮았으며, 전기통신설비도 47.6%(84곳 중 40곳)로 매우 낮은 수준을 보였다.
이외 △폐기물매립시설 48.6%(387곳 중 188곳), △어항시설 54.0%(1378곳 중 744곳), △병원시설 63.1%(1755곳 중 1107곳) 등 주요 공공시설 일부에서 낮은 수준의 내진율을 보였다.
정부는 지진·화산재해대책법에 따라 재해가 우려되는 시설물에 내진성능을 확보하고자 5년마다 내진보강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김 의원은 이 같은 실태에 대해 “경주·포항 지진에서 나타났듯 한국도 더 이상 지진 안전지대라 할 수 없다”며 “대형 참사 및 2차 피해가 우려되는 학교 등 시설물에 대한 내진보강을 우선해야한다”고 강조했다. EP
ljk@economicpost.co.kr
<저작권자 ⓒ 이코노믹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
|
이코노믹포스트 이주경 취재부 기자입니다.
"미래는 타협하지 않는 오늘이 만듭니다" |
|
|
 |
|
 |
 |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